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참조적 의사소통의 발달

자연스러운 대화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말하는 사람(화자)이나 듣는 사람(청자)이 대화를 하고 있는 상대방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하여 표현을 해주거나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참조적인 의사소통 기술들이 필요하다. 참조적 의사소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말하는 사람고 듣는 사람 모두 정보와 그 정보가 언급하는 참조물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능력들은 학령기 시절 동안 지속적으로 발달을 하게 된다. 참조적 의사소통에서 청자의 역할은 화자의 정보를 이해하고 화자 정보의 적절성에 대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따라서 참조적 의사소통은 대화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하여 특정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해하는 능력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말하는 사람의 능력에는 청자가 파악할 수..

영유아 발달 2022. 12. 13. 10:00
취학전기 언어학적 능력 발달

언어습득에 있어서 언어학적 기초 능력이 밑바탕이되어야 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언어학적 기초 능력이 단지 말을 할 수 있다와 없다고 평가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말을 하기 위한 언어학적인 기초 능력으로 우선 떠오르는 것은 그 언어의 소리들, 즉 음소를 습득하는 것돠 이해할 수 있는 어휘 숫자의 확보일 것이다. 아동이 어휘를 습득하는 원리에 대하여 여러 가지 많은 이론이 있는데, 블룸은 상관성의 원리, 변별성의 원리, 그리고 확장성의 원리를 제안하였고, 메이스와 로버츠는 여기에 반응의 효율성 원리를 더 추가하였다고 밝혀져있다. 첫 번째, 상관성 원리란 아동은 아동 본인이 어떠한 것에 관심을 가지고 중요시하게 생각을하는지가 반영된다는 것을 말한다. 즉 아동의 초기학..

영유아 발달 2022. 12. 10. 10:00
언어이전기 의사소통 능력 발달

인간은 신생아 때부터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할 수 있는 본능적인 기제를 나타난다고 한다. 예를 들어보면, 신생아는 우는 것 이외에도, 감정적인 연결 없이 웃고 미소를 지으며 때로는 찡그리기도 한다. 신생아의 이러한 행동들은 성인에게 감정적인 표현으로 '오해'되어 성인을 아동에게 접근을 시키거나 관심을 가지게 한다. 차츰 차츰 신생아나 유아들은 이러한 행동들을 의사소통을 유도하는 수단으로도 사용을 하게 된다. 예를 또 들어보면, 성인이 유아를 바라보면 유아도 같이 성인을 바라보게 된다. 또한 성인의 눈길을 자신이 관심 있어 하는 물체에 가도록 하기 위해서 소리나 행동들을 사용하기도 한다. 육체적이거나 사회적인 욕구를 채우기 위해서 울음이나 칭얼거림, 또는 옹알이 소리를 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

영유아 발달 2022. 12. 9. 11:00
아동의 초기 어휘 발달

언어발달은 단계적으로 볼 수 있는데 그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초기부터 한번 함께 알아보도록 해보도록 한다. 초기에 나타나는 발달 모습 아동의 언어습득을 염려하는 부모님들은 아동이 어떠한 단어들을 먼저 이해하거나 표현하는지에 대하여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초기 어휘의 발달은 아동의 기본적인 인지 능력과도 관련이 많다. 문헌에 나와 있는 초기 어휘의 특징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첫 번째로는, 초기 어휘는 아동의 경험과 관련이 많아서 소극적인 관찰보다는 적극적인 관찰로 직접적으로 조작해 본 사물에 대하여 단어를 먼저 배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번째로는, 상태를 나타내는 낱말보다는 행동이나 조작과 관련이 있는 단어들을 먼저 습득하게 된다. 즉, 사물의 특징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나 부..

영유아 발달 2022. 12. 9. 10:00
언어처리과정에서 필요한 요소들

언어처리과정 (1) 청각적 집중(auditory attention): 청각적 집중이라는 기능은 무관한 소리자극은 무시하고 중요한 소리 정보에 집중하며 그 집중력을 어느 정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보면, 텔레비전을 켜 놓은 상황에서 엄마가 아동에게 말을 걸었을 경우에는, 아동은 텔레비전의 소리가 나오고는 있지만 텔레비전의 소리를 무시하고 엄마의 소리에 집중하여 엄마의 말을 듣고 인지하여 다음 단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집중하는 시간을 유지시켜야 한다. (2) 청각적 변별(auditory discriminatiom): 청각적 변별이라는 기능은 소리자극들 사이에서 차이를 구별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언어습득과 관련된 청각적 변별력은 단어나 문버형태소 에서 특히나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보..

영유아 발달 2022. 12. 7. 10:00
아동의 언어습득의 모든 것

[1] 아동의 언어습득 이론을 먼저 보도록한다. 아동의 언어습득을 이야기하는 이론들은 (1) 언어습득이 선천적으로 이루어지는지(생득론), 그게 아니면, 경험적으로 이루어지는가(구문론)으로 볼 수 있다. (2) 초기 언어습득을 하는 언어의 기본적인 것은 구문적 지식에 초점을 둔 형식인가(구문론), 인지적 지식이나 정보처리의 성숙에 중점을 둔 내용인가(의미론), 언어적인 환경에 기본을 둔 기능인가(화용론)에 대한 논쟁으로부터 시작한다고 할 수 있다. 최근들어 언어습득 이론들은 언어의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을 중요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지식과 경험이 함께 공존하는 연속선상에서 설명하는 것이 현시대에 추세이다. 이 글에서는 언어에 대한 이론 하나하나의 이슈보다는 언어습득을 바라보는 이론의 변화에 따른 언어발달이나..

영유아 발달 2022. 12. 5. 11:01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