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인간의 언어 능력

인간이 다른 동물과 구분되는 가장 큰 차이는 인간에게는 언어가 있다는 사실이다. 언어가 있기 때문에 인간은 문화를 창조할 수 있었고 오늘날과 같이 과학이 발달하여 문명의 이기를 누리며 생활할 수 있게 되었다. 과학읜 발달은 지구를 '지구촌화'하였으며, 더 나아가 우주로의 공간 확대를 꾀하고 있다. 또한 바야흐로 컴퓨터의 발달로 인간은 시공을 초월한 정보의 획득이 가능한 세계에 살게 되었다. 이 모든것이 인간의 언어 능력과 그에 따른 정보 및 지식의 유지와 보관과 확산에 기인한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언어 능력은 다른 어느 동물에게서도 발견할 수 없는 인간 고유의 능력이다. 동물 가운데에서 지능이 높다는 침팬지 등이 인간의 언어를 수화 등을 통하여 어느 정도 배운사례는 있으나 침팬지의 언어는 그 범위가..

영유아 발달 2022. 11. 29. 11:22
의사소통장애와 언어치료사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것이 언어다. 언어는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복잡한 조직체다. 그런데 인간은 생후 5~6년이 지나면 그 언어를 거의 불편 없이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생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그 기간 동안 어린이는 치열한 시행착오의 실험과정을 거치면서 모국어를 습득한다. 모국어를 습득한 후에 이를 사용하는 일도 단순한 것이 아니다. 말할 것을 생각해야 하고, 낱말들을 연결하여 문장으로 구성해야 하며, 이렇게 만든 문장을 말소리로 전환하여 듣는 상대방에게 전달해야 한다. 이렇게 언어를 통해 의사소통을 하자면 인간의 뇌를 포함한 중추신경계와 허파, 성대, 혀, 입술, 입, 코 등의 발성 및 조음기관에 기질적인 잘못이 없어야 하고, 이들을 이루고 있는 근육, 뼈, 물렁뼈 등의 협응이 조화롭고 정..

영유아 발달 2022. 11. 29. 10:57
의사소통장애의 이해

1980년대만 해도 언어치료라는 단어가 낯설었습니다. 그러나 지그은 많은 아동과 성인이 언어치료를 받고 있는 실정이기에 전혀 낯선 용어가 아닙니다. 또한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해 보청기를 많이 사용함에 따라 청각검사, 청각재활이라는 용어도 점차 익숙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언어 및 청각치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발전은 언어장애와 청각장애 분야에 관련된 많은 분이 헌신적으로 일해 온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 언어병리학 및 청각학의 이론과 실제를 교육하기 위한 학부 및 대학원과정이 전국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언어 및 청각장애를 다루는 치료실이 전국에 많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학술대회, 연수회, 전문요원 교육 등을 통해 치료를 담당하는 치료사의 전문능력을 향상시켜 왔습니다. 그러나 전문가 양성을..

영유아 발달 2022. 11. 28. 16:17
이전 1 ··· 9 10 11 12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