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자폐성장애아동의 반향어 형태 및 기능

1. 자폐아동의 반향어 뒤늦게 발화를 산출하기 시작한 자폐성장애아동들은 대부분 반향어로 발화를 시작한다. 이러한 반향어는 비교적 나아진 청소년기나 성인기까지도 남아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자폐성장애아동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는 반향어의 모습은 즉각 반향어 또는 지연반향어이다. 두 반향어는 강박적인 구어 반복의 모습을 나타내지만, 기억 과정에서 다소 다른 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즉각 반향어는 대뇌 과정을 거의 거치지 않고 바로 반복이 돼서 나오는 것이지만, 지연반향어는 일단 저장을 했다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되어 표현되는 것이다. 두 모습의 반향어는 언어 이해 과정을 거칠 수도 있고 거치지 않을 수도 있는데, 반향어가 자동적이고 반사적일수록 이해 과정을 거치지 않고 나올 가능성이 높은 편이..

영유아 발달 2023. 1. 25. 23:00
함묵증과 반향어의 형태와 특성

1) 함묵증 형태 함묵증은 전혀 소리를 내지 않는 철저한 무언증으로부터 조금의 소리를 동반하는 형태까지 여러 종류이다. 학자에 따라 표현어휘가 전혀 없을 경우만을 함묵증에 분류하기도 하고, 매우 제한적인 표현어휘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이것에 들어가기도 한다. 함묵증을 어떠한 소리도 내지 않는 완전 함묵증과 자기 자극이나 소리 유희를 위한 조금의 소리를 동반하는 기능적 함묵증, 그리고 욕구나 거부 등 즉각적인 표현을 하기 위한 어휘가 충분하지 못해서 나타나는 준함묵증 등으로 나누어진다. 함묵증이 종류와 그들의 언어 이해력과의 관계에 대하여 이야기한 학자가 있는데, 완전 함묵증은 언어 이해력이 거의 없다고 생각하고, 기능적 함묵증은 매우 제한적인 모습을 보이며, 준함묵증은 비교적으로 발달된 모습을 보이고 있..

영유아 발달 2023. 1. 23. 12:17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